반응형

투자가 아니라 도박이죠 5

거시경제 분석(5) - 환율과 주가

환율의 정의와 환율제도 환율은 쉽게 말해 '외국 돈과 우리 돈을 바꿀 때 적용되는 교환비율'이라고 정의할 수 있음. 대부분의 나라가 환율을 외국통화표시방법으로 표시하는데,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환율을 1달러의 가격이라고 이해하는 것. 즉 환율을 하나의 상품 가격처럼 인식하는 것. 그래서 환율이 오른다는 것은 1달러의 가격이 오르는 것임(그만큼 달러가 귀해진 것). 반대로 환율이 낮아진다는 것은 1달러의 가격이 떨어져서 상대적으로 원화의 가격이 올랐다는(원화의 평가절상) 의미. 우리나라는 1997년 12월 원화의 대미달러환율의 일중 변동폭 제한을 폐지해 환율이 외한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된느 자유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음. 아울러 달러 이외의 통화에 대한 원화환율은 원화의 대미달러환율을 ..

거시경제 분석(4) - 금리와 주가

통화란 무엇인가? 통화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결제활동에 사용하는 돈(화폐)를 말함. 결제를 할 때 꼭 현찰을 주고받는 것은 아님. 오히려 계좌이체, 수표, 어음, 인터넷뱅킹 등 다양한 형태로 주고받음. 또한 조금 더 통화의 개념을 확대하면 은행의 정기예금도 급한 경우 언제든지 해지해 결제에 사용할 수 있음. 이렇게 현금뿐만 아니라 돈의 기능을 가진 금융상품을 포함한 개념이 바로 통화임. 유동성에 따른 통화의 종류 유동성에 따라 통화는 다음과 같이 나누어짐. 1) 협의통화(M1) 화폐의 지급결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중시한 지표. 민간이 보유한 현금과,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입출금예금의 합계로 정의함. 현금이 아니더라도 자기앞수표와 같이 즉시 현금으로 교환될 수 있다면 M1에 포함. 2) 광의통화(M2) 협..

거시경제 분석(3) - 물가와 주가

물가는 낮아야 좋은가? 물가하락은 가계의 실질소득 증대, 기업의 생산비용 절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도 발생시킴. 1) 구매이연 효과 물가가 하락하는 경우 소비자는 물가가 더 떨어진 다음에 구매하려고 하게됨. 즉 구매를 미루게 되어 기업 입장에서는 매출의 위축이 더욱 심해짐. 2) 기업 수익성 악화 물가하락이라는 것 자체가 기업의 제품가격 하락을 의미하므로 기업의 수익성은 나빠짐. 3) 통화정책 무력화 물가가 하락하면 물가를 감안한 실질금리는 오히려 상승하므로 금리를 인하하는 경제부양정책의 효과가 무력화되기 쉬움. 결론적으로 물가는 경제성장에 따라 완만하게 오르는 것이 최적임. 물가가 급하게 오르면 소비가 위축되어 경기가 하강하며 물가가 하락하는 것 역시 경제에는 좋지 않음. ..

거시경제 분석(2) - 경기순환 분석

경제분석 거시적인 경기상황 : 한 나라의 전체적인 경제상황을 말하며, 경기상황이나 경기전망은 주식시장에 큰 영향을 미침. 국민소득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경제수준과 국미들의 생활수준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로 가장 일반적으로 경제를 판단할 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 국민소득은 한 나라의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에 새로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해 합한 것으로 흔히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이라고 한다. 국내총샌산은 대표적인 생산지표지만 생산 측면뿐만 아니라 분배·지출 측면에서도 측정할수 있다. 이렇게 각 측면에서 측정된 값은 똑같은데 이는 가계, 기업, 정부, 국외 등 경제주체에 의해 재화와 서비스..

거시경제 분석(1) - 경기 분석

* 경기지표법 경기지표의 동향을 통해 경기를 예측하는 방법. - 개별지표법 : 선행지표로 분류된 지표 중 몇 개 지표의 움직임을 보고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고자 하는 방법(소비자기대지수, 재고순환선, L/C내도, IL발급 상황) 경기종합지수 경기 변동의 국면 전환점과 속도·진폭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경기지표의 일종으로, 국민경제의 각 부문을 대표하고 경기 대응성이 양호한 경제지표들을 선정한 뒤 이를 가공·종합해 작성. 1) 선행종합지수 투자 관련 건설수지지표나 재고순환, 금융 등의 지표처럼 실제 경기 순환에 앞서 변동하는 개별지표를 종합해 만든 지수로 향후 경기변동의 단기 예측에 이용됨. (경기종합지수의 하나로 비교적 가까운 3개월에서 6개월 정도의 장래에 닥칠 경기변화를 예고하는 지표) 2) 동행..

반응형